고고학자 강인욱·한의학자 차웅석
소영자 유적서 나온 골침과 석침, 치료용 ‘침’의 초기 형태로 결론내
“중국보다 앞선 침술 문화 있었다”
“동아시아의 침술 전통은 ‘한의학의 본향’으로 알려진 중국이 아니라 한반도 북부 두만강 유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 침술을 사용한 사람들은 옥저(沃沮)의 조상이었고, 이후 침술 전통은 고구려로 계승됐다.”
고고학자 강인욱(48) 경희대 사학과 교수와 한의학자 차웅석(48) 경희대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교수는 최근 대한의사학회 발행 국제학술지 ‘의사학’ 57호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 ‘연길 소영자(小營子) 출토 유물로 본 동아시아 침구류(針具類)의 기원’을 발표했다.
두만강 부근 소영자 유적은 1938년 경성제대 교수 후지다 료사쿠(藤田亮策)의 주도로 발굴된 기원전 12~9세기 청동기시대의 무덤이다. 골침(길이 9~21㎝)과 석침(12~18㎝) 등 대부분 침 종류인 주요 유물이 현재 서울대박물관에 남아 있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위석(�石), 안마용 돌이었습니다. 불에 달궈 국부에 온열 자극을 주는 것이죠.”
지금까지 중국에서 침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6세기의 상황을 쓴 ‘좌전’이고, 침이 확실한 실물은 기원전 2세기의 만성한묘(滿城漢墓)에서 나왔다. 황 교수는 “일반적으로 피부를 자극해 치료하기 위한 폄석(�石)이 침으로 진화했을 것으로 보는데, 지금까지 폄석과 침의 중간 단계가 나오지 않았었다”며 “소영자 골침과 석침이 바로 그 부분에 해당하는 침의 초기 형태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폄석이 종기를 째기 위한 도구로 발전하고, 다시 특정 부위를 찌르는 용도로 특화돼 나온 것이 바로 이 침이라는 얘기다.
“일관된 형태의 의료 도구가 기원전 10세기를 전후해 이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다량으로 발굴됐다는 것은 나름의 의학문화나 지식체계에 근거해 폭넓고 오래 이뤄진 침술의 전통이 있었다는 걸 의미한다”고 했다. 고구려 사람이 침을 잘 놓았다는 당나라 ‘유양잡조’나 일본인이 침술을 배우러 고구려에 유학했다는 ‘일본서기’의 기록은 두만강 유역의 침술 전통이 계승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학계에선 ‘획기적인 논문’이란 반응이 나오고 있다. 이현숙 연세대 의학사연구소 교수는 “중국 의학과 구별되는 한국 의학의 고대 공백을 복원할 수 있게 하는 실증적인 연구”라고 했다.
다음 기사에서 (http://v.media.daum.net/v/20180111030707091) 요약
정통사암오행침구학회 제공 각종 질병 치료 방법 등 동영상
질병의 발생과 그 치유 – 특강 동영상
질병치료 백과사전 – 정통사암오행침구학회 제공
정통사암오행침구학회 미주지부: https://saah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