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증 (心筋梗塞症, Myocardial Infarction), 동맥경화증, 협심증 치료 방법
목차:
- 다음 백과에서의 설명
- 치료제: 브릴린타 (Brilinta 또는 ticagrelor)정
- 치료제: 아스피린 (aspirin)
- 정통사암오행침구학회의 이해 및 치료 방법
아래 내용은 다음 백과에서 인용했다.
정의
심장의 근육은 심장표면에 관상동맥이라고 불리는 3개의 주요 혈관들로부터 산소와 영양소들을 공급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관상동맥 질환이란, 동맥경화증이 심해져서 관상동맥의 협착이 진행되고 이로 인하여 심장 근육의 혈류공급에 장애가 생기는 병을 지칭합니다.
동맥경화증이 진행되면 콜레스테롤, 지방성분, 칼슘, 기타 성분 등이 관상동맥의 내면에 축적되어 혈관 벽은 두꺼워지고 그 내경은 점차 감소하게 됩니다. 이렇게 좁아진 혈관에 혈전이 생성되어 갑자기 동맥이 막힐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관상동맥의 내경이 약 70%까지 막힐 때까지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못하며 그 이상이 막히게 되면 비로서 협심증 증세를 나타내게 됩니다.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인하여 심장 근육으로의 혈액 공급이 한때 불충분하게 되어도 단시간 동안에 혈류가 다시 흐르면 심장 근육은 죽지(괴사, necrosis)않고 회복하게 되는데 이를 협심증(angina pectoris)이라고 하고, 혈류가 개통되지 않아 그 부위의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 것을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이라 합니다.
협심증은 그 자체로도 위험하거니와 치료를 하지 않으면 결국엔 심근 경색으로 이행하게 됩니다. 심근 경색은 협심증에 비해 사망률이나 합병증의 빈도가 훨씬 높은 치명적인 병입니다.
증상
가슴의 통증 또는 가슴을 짓누르는 압박감이 30분 이상 지속되는 것이 심근경색의 주된 증상입니다. 협심증의 경우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완화되나 심근 경색의 경우는 휴식과 관계없이 격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됩니다. 이때는 발한을 동반하며 가슴에서 턱, 목, 왼쪽팔, 어깨 사이 상복부 등 방사상으로 통증이 퍼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증상이 없는 심근 경색(silent myocardial infarction)은 흉통을 보이지 않는 심근 경색을 말하며 당뇨 환자에서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진단
휴식과 관계없이 격렬한 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되는지 봅니다.
심전도 : 심전도를 통해 약 90% 환자에게서 심근경색증을 확인할 수 있는 데 특히 ST구분의 상승과 비정상적 Q파가 보이면 진단됩니다. 그러나 일부 환자는 ST구분과 T파에 이상만 보이고 Q파가 나 타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때는 비Q파 심근경색증 또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으로 진단하게 됩니다.
혈액검사 : 심장근육에 손상이 왔는 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심근경색증 환자는 심장근육 내에 존재하는 효소(트로포닌 또는 CK-MB 등)가 혈액으로 빠져 나오기 때문에 혈액검사로 심근경색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장초음파 :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면 심장근육의 일부가 수축 기능을 상실하여 움직이지 않 으며 또 이 부위의 심근이 정상 부위에 비해 얇아집니다. 그러나 오래된(만성) 심근경색증도 수축 기능의 장애를 보일 수 있습니다.
운동부하검사 : 협심증의 유무를 판단하는 선별검사로 사용합니다.
핵의학검사 :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죽상경화증에 의해 발생하는 관상동맥질환을 진단합니다.
관상종맥조영술 : 죽상경화증에 의해 발생하는 관상동맥질환을 진단하는 가장 정확한 검사입니다.
이밖에 심장 CT, MRI, 경동맥 초음파 등으로 검사합니다.
치료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치료는 크게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내과적 치료
동맥경화증의 예방과 진행을 막기 위해 고혈압이나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교정하며, 혈전형성을 억제하는 약물요법, 관상동맥의 협착 부위를 넓혀주는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PTCA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등이 있습니다.
외과적 치료
관상동맥의 협착부위를 다른 혈관을 이용하여 우회로를 만들어줘 혈류 공급을 가능하게 해주는 관상동맥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이 가장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그 밖에 협착을 유발하는 관상동맥의 내막을 절제하거나 좁아진 부위를 덧대어 넓혀주는 혈관성형술 등의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어떠한 치료를 받을 것인지는 각각의 치료방법에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관상 동맥 질환의 상태, 환자의 조건, 심장 기능, 동반 질환 등에 따라 결정하게 됩니다.
[관상동맥우회술]
관상동맥우회술은 우리 몸의 다른 부위에 있는 동맥이나 정맥을 이용하여 협착으로 인해 혈류량이 부족한 부위에 혈류공급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우회로를 만들어주는 수술입니다.
이때 사용되는 우회혈관은 떼어내더라도 신체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 혈관을 사용하게 되며, 흉골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내유동맥(내흉동맥, internal mammary artery, internal thoracic artery) 과 다리의 피부 밑 지방층에 있는 복재정맥(saphenous vein), 팔의 상완 동맥(radial artery)등을 주로 사용합니다.
수술은 통상적으로 가슴 가운데를 열고 들어가 체외 순환기를 가동하고 심장박동을 멈추게 한 다음 미세혈관수술 기법으로 관상동맥의 막힌 부위 너머로 우회혈관을 연결해 주게 됩니다.
[무심폐기 관상동맥우회술]
1990년대 후반부터는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심장이 박동하는 상태에서 우회술을 시행하는 기법(무심폐기 관상동맥우회술, off- pump CABG, OPCAB)이 발전되어 또 하나의 치료 방법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심장이 박동하는 상태에서 우회술을 시행하는 기법은 인공 심폐기 가동과 심정지에 따른 부작용을 없앨 수 있다는 이론적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만성 심부전 환자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 있어 합병증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환자에 따라 심비대를 동반한 심각한 심부전을 보이거나 관상동맥 자체의 질병이 매우 심하여 심폐기를 가동하면서 수술 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소절개우회술]
최근에는 관상동맥 우회술에 필요한 우회도관을 얻기 위해 팔과 다리에 있는 혈관을 채취할 시에 내시경을 이용하여 피부절개를 1-2cm 이내로 최소화 하는 기법을 도입하여 수술 후 상처의 크기와 합병증을 줄이게 되었습니다.
또한 환자의 관상동맥 질환이 좌측에 국한된 경우나, 좌전 하행지 1혈관 질환만을 보이는 경우 수술 로봇을 이용한 최소 절개 우회술을 적용하여 수술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인 도약은 수술 성공률과 환자 만족도를 한층 높이고, 수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감소시키며 그에 따라 수술의 적용을 더욱 넓힐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관상동맥 우회술의 세부적인 수술 방법은 꼭 전문가인 흉부외과 교수님과 상의하여야 안전하게 치료를 마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동맥 경화증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계속해서 진행되는 병이기 때문에, 병의 재발과 진행을 막기 위해 수술 후에도 운동, 식이 요법, 금연, 체중 조절, 및 약물 복용을 평생 지속적으로 반드시 하여야만 합니다. 특히 금연은 반드시 지켜야 할 필수적인 요소로, 수술 후 흡연은 우회 관상동맥의 경련을 일으켜 심한 경우 심근 경색과 급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의 약물치료는 관상동맥을 확장시켜서 혈류의 공급을 증가시키고, 심근의 수축력과 심박수를 줄여서 심근에서의 산소소모를 감소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관상동맥을 확장시키는 약제로는 칼슘차단제와 질산염(나이트레이트)제제가 있습니다. 이들 약제는 관상동맥의 혈관평활근에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키는데 관상동맥경화증으로 좁아진 부위를 확장시켜 심장 근육에 혈류 공급을 증가시킵니다. 뿐만 아니라 전신적인 혈관에 작용하여 혈압을 강하시키는 효과가 있고 특히 질산염제제는 뇌혈관을 확장시켜서 두통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환자들의 경우에는 수일간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통증이 사라지고 약제에 적응을 하게 됩니다.
한편 질산염제제는 비아그라와 같이 복용시는 혈압강하효과가 매우 증가하여 심각한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고, 관상동맥질환이 심한 환자는 갑작스런 혈압 저하로 인하여 협심증이 심해지거나 심근경색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같이 복용하는 것은 금하여야 합니다.
심근의 산소 소모량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제로는 베타차단제를 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베타차단제는 지나치게 심박수를 줄여서 어지러움증, 무기력감 등을 나타낼 수 있고, 만성 폐질환이나 당뇨병 환자에서는 사용시에 조심하여야 합니다. 이들 3가지 약제들이 관상동맥질환에서 약물 치료의 근간을 이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편 협심증상을 줄여주지는 못하지만 장기적인 연구에서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 질환의 진행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중요한 약제가 아스피린입니다. 저용량의 아스피린(매일 100-200mg)은 해열, 소염 작용은 없으나 혈소판 억제 작용이 있어 관상동맥 질환의 모든 환자에서 사용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치료제: 브릴린타 (Brilinta 또는 ticagrelor)
아래 내용은 다음 백과에서 인용
효능
다음의 성인 환자에서 아스피린과 병용하여, 혈전성 심혈관 사건(심혈관 이상으로 인한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의 발생률 감소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심근경색의 병력(최소 1년 이상 이전에 발생)이 있는 혈전성 심혈관 사건의 발생 위험이 높은 환자주의사항
[허가사항변경(안전성 정보처리), 의약품안전평가과-2296. 2017.04.21.]1. 경고
티카그렐러는 다른 항혈전제들과 마찬가지로 유의하고, 때때로 치명적인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병리학적 활동성 출혈이 있는 환자나 두개내 출혈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가능한 한 모든 수술 전 적어도 7일 전에 티카그렐러의 투여를 중단한다.
최근에 관상동맥조영술, 경피적 관상중재시술(PCI), 관상동맥회로우회술(CABG), 기타 외과적 수술을 받은 환자로, 이 약 투여시 저혈압 증상이 나타나면 출혈을 의심해야 한다. 가능하면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하지 않고 출혈을 치료하도록 한다. 티카그렐러의 투여 중단 시, 심혈관 사건에 대한 위험이 증가한다.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투약 당시 병적인 출혈(예: 소화성궤양, 두개내 출혈)이 있는 환자
3) 두개내 출혈의 병력이 있는 환자
4) 중증 간장애 환자
5) 강한 CYP3A4 억제제 (예: 케토코나졸, 클래리스로마이신, 네파조돈, 리토나비르, 아타자나비르)를 투여 중인 환자 (병용투여 시 티카그렐러의 과도한 노출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아래는 미국 웹사이트에서의 내용 중에서 발췌
Brilinta (ticagrelor)는 혈액 내의 혈소판이 서로 붙어서 혈전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원하지 않는 혈액 응고가 특정 심장 또는 혈관 상태와 함께 발생할 수 있다. Brilinta는 심장 발작이나 심한 가슴 통증 (협심증)을 앓은 후에 뇌졸중이나 심각한 심장 질환의 위험을 낮추는데 사용된다. Brilinta는 이 약물 가이드에 나열되지 않은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복용전 주의 사항: 심한 간 질환, 현재 출혈중, 위 궤양, 위 출혈, 뇌 (부상 등에 의한) 출혈이 있으면 복용할 수 없다.
다음과 같은 경우 쉽게 출혈을 할 수 있다.
- 최근 수술 또는 출혈 상해
- 뇌의 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 뇌졸중의 병력
- 출혈 문제의 병력
- 위 또는 창자 출혈의 병력 또는
- 65 세 이상
복용 중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생길 경우에 의사에게 즉시 말해야 한다.
- 어렵거나 수고스러운 호흡
- 가슴의 압박감
- 흐려진 시야
- 가슴 통증 또는 불편함
- 혼동
- 현기증
- 앉은 자세에서 일어날 때 어지러움, 또는 현기증
- 기절
- 빠르거나 불규칙한 심장 박동
- 두통
- 현기증 또는 졸도
- 의식 소실
- 신경질
- 심장 박동 소리가 들린다
- 느리거나 빠른 심장 박동
- 발한
- 비정상적인 피곤이나 무기력
- 요통
- 기침
- 설사
대한민국과 미국에서 약에 대해 설명하는 내용이 많이 틀린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아스피린 (aspirin)
아스피린도 심근경색증 예방과 치료에 쓰인다.
아스피린은 히포크라테스가 기원전 400년에 살리신산 차 (salicylic tea)가 해열에 좋다고 했으며, 1899년부터 바이엘 (Bayer, 미국에서는 ‘베이어’라고 부름)이 아세틸살리실산 (acetylsalicylic acid)을 인공적으로 합성하여 아스피린이라고 하는 상품명으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118년이 된 지금 2017년까지도 어떻게 이 화학 물질이 작용하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물론 이로 인한 부작용도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그들이 말해온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https://www.drugs.com/sfx/aspirin-side-effects.html
아래 부작용이 생기면 즉시 의사에게 말해야 한다.
- 복부 또는 위통, 경련
- 검은 색 대변
- 혈뇨 또는 흐린 소변
- 의식의 변화
- 가슴 통증 또는 불편함
- 혼동
- 변비
- 심한 또는 지속적인 경련
- 어두운 소변
- 감소된 소변의 빈도 또는 양
- 설사
- 어려운 호흡
- 졸음
- 기절
- 빠른 호흡
- 끔찍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느낌
- 열
- 일반적인 피로와 허약
- 두통
- 가슴 앓이
- 갈증 증가
- 체증
- 불규칙한 심장 박동
- 밝은 색 대변
- 식욕 감퇴
- 의식 소실
- 허리 통증 또는 옆 통증
- 근육 경련과 무기력
- 근육 진전
- 메스꺼움 또는 구토
- 신경질
- 손, 발 또는 입술의 마비 또는 따끔거림
- 공포
- 급속하고 심한 호흡
- 안절부절 못함
- 발작
- 피부 발진
- 위경련
- 얼굴, 손가락 또는 다리의 붓기
- 비정상적인 출혈이나 타박상
- 비정상적인 피곤이나 허약
- 위 오른쪽 복부 또는 위
- 커피 찌꺼기처럼 보이는 혈액이나 물질의 구토
- 다리의 약점 또는 무거움
- 체중 증가
- 노란 눈과 피부
설령 위와 같은 부작용들이 설명되어 있어도,
아스피린은 처방없이 살 수 있으며,
부작용들이 현미경을 써야지 읽을 수 있을 정도의 작은 크기로 인쇄되어 있으며,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읽을 생각을 하지 않으며,
거의 대부분의 양의사들이 아스피린을 비타민으로 생각하고 권장할 정도이다.
미국에서는 아스피린과 같은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 non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로 인해 매년 7,600여명이 사망한다고 (1992년) 발표했다. – https://www.wddty.com/magazine/2009/april/death-by-aspirin.html
백신과 GMO로 인한 5장6부의 심각한 질병과 함께, 아스피린의 부작용으로 인해 사망하는 사람들 (알게 모르게)은 엄청나게 빠른 속력으로 늘어날 것이다.
특정 질병을 예방할 목적으로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사람들이 놀랍게도 매우 많은데, 자살 행위에 가까운 안타까운 현상이다.
특정 질병을 예방하는 양약은 없으며, 평상시에 건강 관리를 잘 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일 것이다.
정통사암오행침구학회의 이해와 치료 방법
이해
심근경색증 (心筋梗塞症)은 위치상으로는 심장이고, 기능상으로는 간 (肝)이다.
최근 사망한 김주혁, 전 배우가 심근경맥증으로 인해 사망했다고 하면 직접적인 사망 원인은…
- 닭가슴살 (육식)
- 단백질 파우더 (protein powder)
- GMO
- 탄산음료
- 환경 공해
- 백신
등으로 인한 간 손상이라고 보인다.
가끔 덩치가 우람하고 근육이 대단한 젊은 남성들을 치료하게 되는데,
체육관에서 근육을 발달시키기 위해 열심히 운동하는 동시에
닭가슴살, 단백질 파우더, 탄산음료, 카페인음료 등을 열심히 먹어서
놀라울 정도로 심각한 간 질환을 겪는데,
양의사 50여명을 만났으나 모두 다 지극히 정상적으로 보인다는 진단 결과만 얻었을 정도로
병명 미상의 증상들을 겪고 있는 환자들은 죽음의 공포까지 느낄 정도이다.
정통사암침 치료 방법
대장정격
해계, 소부, 곤륜, 연곡, 행간 사
환자의 다른 증상들도 동시에 치료를 해야 하며, 이 경우에는 치료 방법을 달리 해야 한다.
또한 정통사암오행침구학회만 가르치고 있는 김형관 보사법을 쓰지 않으면 원하는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맨 위 사진 출처: By J. Heuser JHeuser (Own work) [GFDL (http://www.gnu.org/copyleft/fdl.html) or CC-BY-SA-3.0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 via Wikimedia Commons
정통사암오행침구학회 제공 각종 질병 치료 방법 등 동영상
정통사암오행침구학회 미주지부: https://saahm.net/
- https://ochim.com/심근경색증-心筋梗塞-myocardial-infarction-동맥경화증-협심증-치/
- http://bit.ly/심근경색증-心筋梗塞症-동맥경화증-협심증-치료-방법